Today's Books Canada
조국의 공부
조국의 공부
Couldn't load pickup availability
조국, 정여울 저 | 김영사 | 2025년 07월 30일
“절망과 비관의 시간에서 희망과 낙관을 키우는 힘”
지금 조국의 깊은 내면을 읽는다
문재인 전 대통령, 조정래 작가 추천!
우리 시대의 상처 입은 지성, 조국의 지적 시원과 철학적 성찰의 정수! 자존과 행복을 위한 공부, 공존과 연대를 위한 정치에 관한 책이다. 개인적 시련과 고뇌 속에서도 대한민국의 모순을 직시하고 긍정과 낙관을 놓지 않는 전방위적 통찰을 펼쳐놓는다. 가장 낮고 어두운 곳에서 수성펜을 감아쥐며 온몸으로 써 내려간 용기 있는 고백을 보여준다. 조용히 내면을 들여다보며 “인간으로서 어떤 흠이 있었는지, 부족함이나 과도함은 없었는지, 오만이나 편견에 사로잡히지 않았는지” 찬찬히 되짚는 자기 자신과의 대화를 통해 우리가 한 사람으로서, 한 국민으로서 성장할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조국의 공부』는 ‘우리는 위기 속에서 무엇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중심에 놓고, 조국과 정여울이 지난 16년간 세 차례에 걸쳐 나눈 대담과 2024년 12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조국이 쓴 서간문들을 토대로 만들었다. 네 개의 부, 〈성장하는 공부〉, 〈참여하는 공부〉, 〈살아내는 공부〉, 〈치유하는 공부〉는 ‘나의 존엄을 지키며 세상을 변화시키는 공부’에 관한 입체적·다층적 사유를 담았다. 대한민국은 어디로 나아가야 하는가. 과거의 상흔을 어떻게 치유하고 미래를 어떻게 내다볼 것인가.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대해 “성공과 실패, 전진과 후퇴, 신의와 배신 등이 교직(交織)하는 역사를 되돌아보면서” 문학과 법학, 사회과학과 인문학, 감옥과 광장을 넘나들며 숙고하고 탐색한다.
“갇혀 있으나 읽고 쓰고, 고민하고 성찰했습니다. 정치인 조국의 사상과 비전을 가다듬고 응축했습니다. 내란 종식을 넘어 공존, 연대, 행복의 제도화를 구상했습니다. 정치인 이전 인간 조국의 고뇌와 지향을 진솔하게 드러냈습니다. 많은 것을 박탈당하고 가장 낮은 곳에 처해 있지만 공부를 통해 자존과 행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시련과 고초를 견디며 긍정과 낙관의 힘을 키우고 있습니다.”(조국, 독자에게 보낸 편지 중)
목차
여는 글 자존과 행복을 위한 공부, 공존과 연대를 위한 정치―조국
여는 글 당신이 두려워하는 것은 무엇인가―정여울
1 성장하는 공부
심(心): 위기 속에서 자신을 용사로 만드는 마음 간수
선비에서 투사로, 그를 변신시킨 용기
나에겐 언제나 문학이 있었다
《레 미제라블》, 어려운 시기를 이겨내는 담력
《태백산맥》, 이념 대립에서 사람을 지키려 한 기백
잃어버린 자존감을 되찾는 길
마음돌봄의 기술
조씨고아 그리고 ‘공소권 없음’
상대를 수거하고 척결하는 자들을 향하여
〈홀로 아리랑〉을 부르며 홀로가 아님을 깨닫다
독(讀): 둔탁한 삶을 깨는 도끼를 찾기 위해서
한문 공부를 좋아하던 소년
폐문독서, 문을 닫아걸고 맹렬하게 책 속에 빠지는 시간
《소년이 온다》, 트라우마를 대면하는 인간의 용기
문해력, 스스로 생각하는 힘
여성들의 헌법 필사, 우리 헌법사 최초의 현상
책을 읽고 나누는 일상
운명을 바꾸는 독서
학(學): 자신에서 자연까지 생각하는 공동체적 공부
공동체적 공부란 무엇인가
무한 출혈 경쟁을 막는 교육개혁
권력형 엘리트에서 공생하는 엘리트로
의대와 로스쿨
대안을 모색하는 공부
영화로 철학하기
나의 존엄을 지켜주는 공부는 쓸쓸하지 않다
2 참여하는 공부
연(連): 길을 잃은 한국이 다시 길을 찾기까지의 투쟁과 연대
한국인의 정치·사회적 DNA
빛의 혁명이 만드는 아름다운 기적
자기 자신에게만 충성할 때 벌어지는 일
가슴에 돋는 칼로 슬픔을 자릅니다
이분법적 국제관계관
숫자 계산에 가려진 본질
피청구인 윤석열을 파면한다
K-민주주의의 힘
K-엘리트의 추태
맞불 놓기
압수수색
법조 엘리트의 해석과 국민의 선택권
대화와 타협 그리고 단호함이 필요한 때
우리는 어디로 갈 것인가
민(民): 선량한 의도의 정치가 민주주의를 발전시킬 때
태어나서 본 아름다운 풍경
당신은 무슨 주의자입니까
민중, 우중, 폭중
지방분권 개헌
약자와 복지
정치·경제·사회민주화
한쪽으로 치우친 세력의 비극
레거시 미디어와 유튜브의 팩트 체크
한국 사회의 엘리트주의
사회권에 관하여
법(法): 법을 알면 보이는 것들
왜 나는 법을 공부하는가
법비와 법추
법이 공정해도 법률가가 공정하지 않다면
재심, 잘못된 판결을 바꿀 수 있는 힘
형사법의 성편향
일상화된 폭력으로부터의 해방
범죄라고 규정한 행위가 정말 범죄가 맞는가
3 살아내는 공부
인(人): 인간적 약점을 사랑하게 만드는 원동력
나의 존경하는 후배, 박종철을 기리며
나의 빛나는 벗, 최강욱
지식인의 지식인, 유시민 작가
우정, 힘들 때 더더욱 빛이 나는 관계
스승에 관하여
동지를 모으는 덕목
리더, 손가락을 타인이 아니라 자신에게로 향하는 사람
승(勝): 모두가 승리하는 삶을 살기를
독거, 내면을 바라보는 시간
감옥에서 받은 편지
변한 것과 변하지 않은 것
아무 말 없이, 오직 ‘승리’라는 단어만을 적다
상처받은 자의 승리
생(生): 불꽃 같은 상처 입은 치유자
가장 낮은 곳에서 맨몸으로 쓰는 책
성공의 진정한 의미, 내면의 행복
순한 사람, 무서운 사람
조국 사태가 아닌 조국 사냥, 그 이후
약관의 정치와 이순의 정치
상처 입은 치유자
심장에 새기는 문구
오만과 편견
살아 있는 안티고네
인간 조국으로 석방된다면
아름답게 나이 들어간다는 것
4 치유하는 공부
2009년 처음 만난 조국: 민주주의의 성찰적 진보를 꿈꾸며
노무현 이후,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는 어디로 나아가는가
우리는 마음속에 저마다의 비석을 세우는 중이다
중도실용의 화려한 립서비스
‘욕망의 정치’와 민주주의는 대립하는가
창조적 계급 배반 혹은 희망의 제도화
행복의 제도화를 위한 길
이토록 소중한 민주주의라는 산소
2023년 다시 만난 조국: 공부가 나를 지켜주었다
지성의 시작, 진심을 다해 사과하는 용기
어린 시절의 한자 공부, ‘공부하는 사람 조국’의 시작
그들은 나를 결코 죽이지 못한다
나는, 우리는 무너지지 않는다
공감의 공부, 동료 시민과의 뜨거운 연대
2025년 정여울이 다시 쓰는 조국: 조국론(曺國論)
고통 속에서도 힘을 주는 공부
진보의 이정표를 제시하다-《성찰하는 진보》
대화하는 조국, 열린 조국의 첫인상-《진보집권플랜》
절망 속에서 희망을 발견하는 시간-《조국의 시간》
최악의 독재 속에서도 희망 발견하기-《디케의 눈물》
대한민국의 청사진-《가불 선진국》
법학자 조국의 명강의-《조국의 법고전 산책》
찬반으로 나뉜 세상에서 마음의 중심 잡기
닫는 글 투쟁하는 자들이 비로소 행복해지는 세상―정여울
미주
Share
